상단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메뉴보기

고객센터

실내공간

페이지 정보

작성자
디자인비젼
조회
149회
작성일
21-11-04 21:28

본문

 

 

 



40cee500328623d76da5043780aad7cc_1636028974_5893.jpg
대표사진 삭제

실내공간은 인간이 그 내부로 들어가 그 속에서 생활하고 살 수 있는 현실공간이며 구체적 공간이다.

따라서 실내공간은 무한하고 공허한 공간으로부터 그것을 에워싸고 규정하는 요소들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일반적으로 벽, 바닥, 천장, 문, 창문 등을 말한다.

에워싸여진 공간은 실내를 지각할 수 있고 느낄 수 있게 하는 가장 근본적인 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경험으로부터의 이해가 실내디자인에 접근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40cee500328623d76da5043780aad7cc_1636029150_1757.jpg
            하나의 실내공간을 외부공간이나 인접한 다른 내부 공간으로부터

한정짓고 분리하는 벽, 바닥, 천장, 문, 창문 등의 요소들을 어떻게 조합하고 구성하느냐에 따라 공간의 형태는 달라지는데 그 중에는 한정된 공간이라 정의할 수 없는 것도 있다.

한정된 공간은 최소한 세 개 이상의 벽이 있거나 천장면과 그 모서리를 규정하는 요소가

있어야 확실한 의미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세 개 이상의 기둥이나 서로 맞닿지 않는 벽, 그리고 머리 위쪽에 위치한 평면도

보이지 않는 막을 형성하여 공간감을 느낄 수 있는 암시적 공간이 된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한정된 실내공간의 내부에 이러한 암시적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다양하고 입체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40cee500328623d76da5043780aad7cc_1636029253_7534.jpg

 

[ 실내공간의 구성요소 ]

실내를 구체적인 한정된 공간으로 만들고 있는 기초적 요소로서 바닥, 벽, 천장, 문, 창문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바닥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기초적 요소로서 바닥면은 인간의 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설치된 기구 등을 지지해 주는 안전한 구조의 기준면을 제공해준다. 그러므로 바닥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수평면이여야 한다. 다만, 바닥의 한 부분이 기준면보다 약간 올라오거나 내려앉음으로써 전체 공간으로부터 한 영역을 구분해 주며 기능적으로 공간을 구분할 수 있다.

면은 일단 공간의 흐름이나 동선을 차단하지만, 외향적이어서 주변의 공간과는 다른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된다. 하강된 바닥면도 공간을 분절시키기는 하지만, 내향적이어서 주변의 공간에 대한 아늑한 은신처로 인식된다.

상승된 바닥면은 일단 공간의 흐름이나 동선을 차단하지만, 외향적이어서 주변의 공간과는 다른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된다. 하강된 바닥면도 공간을 분절시키기는 하지만, 내향적이어서 주변의 공간에 대한 아늑한 은신처로 인식된다.

바닥면에서 단차를 두지 않고 다른 공간과 영역을 구분하는 방법은 한 부분의 색채, 재료, 패턴 등을 바꿔주는 것이다. 거실이나 복도에 까는 부분 카펫은 이러한 방법의 대표적인 예로서, 단을 변화시키는 것보다는 소극적이지만 한 영역을 구분해 주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이 경우에 카펫의 색채, 질감, 패턴이 강렬하다면 전체 공간에 있어서 더욱 중요하고 지배적인 영역으로 작용한다.

40cee500328623d76da5043780aad7cc_1636029335_4257.jpg
 

2) 벽

벽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고 프라이버시를 지켜준다는

일차적인 기능 외에도 천장과 바닥에 대해 구조적인 지지 역할을 하고 있다.

벽은 또한 실내공간의 형태와 규모를 결정하는 기본적인 요소이며,

공간과 공간을 구분하고 분리함으로써

거주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프라이버시를 제공해준다.

벽의 높이는 인체의 규모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벽의 높이에 따라

시각적 심리적으로 다른 효과를 준다. 즉, 벽의 높이가 600mm정도이면

한정된 공간의 모서리는 규정할수 있지만 감싸는 효과는 없다.

벽이 가슴높이 정도이면 주변공간에 시각적인 연속성을 주면서도

감싸인 분위기를 주며, 벽이 눈높이 정도 되면 공간이 분할된 것으로 지각된다.

벽의 높이가 키를 넘어서거나 천장까지

맞닿아 있으면 두 영역은 완전히 차단되어 분리된다.

벽의 높이에 따른 시각적 심리적 변화는 특히 원룸(one room)을 계획하거나

개방된 거실-식당-부엌을 적절히 구분할 때 다양하게 응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벽에는 일반적으로 바닥과의 경계면에 걸레받이가 있고, 또 천장과의 경계면에는

도드라진 몰딩이 있어 두 면이 만나서 생기는 모서리의 거친 마무리를 감춰주는데,

때로는 장식으로도 활동된다. 또한 벽의 중간이나 그 아래쪽에 징두리 판벽(dado)을 사용하여

벽을 상하로 구분할 수 잇다. 이러한 몰딩, 걸레받이, 징두리 판벽 등의 색채나 재료를

벽면과 대조적으로 처리하면 인접하고 있는 벽, 바닥, 천장이 시각적으로

명확히 구분되므로 공간을 나눌 수 있다.

벽은 실내공간의 가구류나 장식물의 배경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형태가 부정형이거나 색채, 질감, 패턴 등을 강하게 하면 밋밋한 벽면은

보다 적극적이고 활동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벽면은 또한 창문의 유무 또는 크기에 따라 그 개방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천장은 바닥이나 벽에 비해 접촉빈도가 낮으나 실내공간의 형태와 수직적 규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실내공간에서 천장은 소리, 빛, 열환경의 중요한 조절매체이며, 위층의 바닥이나 지붕을 지지하는 구조체이다. 위층의 바닥구조물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천장은 대부분 평평하며 단 차이 정도의 변화만이 허용되지만, 지붕구조에 의해

형성된 천장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대칭으로 경사진 모양이나 일정한 방향성을 주는 등의 시각적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천장의 높이는 실내공간의 사용목적과 그 넓이에 비례한다. 주택공간은

강당이나 백화점과 비교하여 그리 넓은 면적이 아니므로 2.3m 정도의 높이가

일반적이다. 높은 천장은 실내공간에 개방감과 경쾌감을 주며,

그 형태가 질서 정연하다면 품위와 격식있는 효과를 준다. 반면,

낮은 천장은 친근감과 안락감을 주므로 은신처의 느낌을 준다.

바닥면과 마찬가지로 천장면의 높이변화는 공간의 영역을 규정하고 있으며

인접공간과 분리시키는 효과를 준다. 만일, 한 단을 올렸거나 내린 바닥면과

같은 위치에 같은 크기로 천장이 올라갔거나 내려졌다면,

이는 보다 확실하게 공간을 규정할 수 있다.

4) 창문과 문

창문과 문은 벽에 부속되어 있으므로 벽면의 한 부분이지만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우선, 창문은 공기와 빛을 통과시켜

실내에 통풍과 채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전망이나 옥외를

내다볼 수 있는 시각적인 기능을 한다. 한편, 문은 이상과 같은

창의 기능에 덧붙여 사람이나 물건을 드나들 수 있게 하고,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는 물리적 기능을 한다.

(1) 창문의 크기와 위치

창문의 크기는 실내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며, 창문의 방향과 위치는

빛의 시간과 강도를 조절해 준다. 태양으로부터의 빛은 오전, 정오, 오후 등 시간대에 따라 그 강도와 색상이 변화되므로 실내에 창문 설치시에는 어느 방향과 위치에서 얼마만큼의 빛을 받아들여야 하는지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창문이 작으면 벽에 그림이 걸린 것 같은 장식효과를 주고, 전면창가 같이 큰 창문은 방 전체에 보다 넓은 전망과 채광으로 개방감을 얻을 수 있다.

창문의 위치는 가구배치와 동선에도 영향을 준다. 창턱이 높이에 따라 그 아래에 놓일 수 있는 가구는 한정되는데, 전면창이 경우는 창문에 가구를 붙여놓을 수 없으므로 실내의 유용한 바닥면적은 감소된다.

(2) 문의 위치와 방향

문의 위치는 동선을 유도하며 실내공간 사이에서의 움직임에도 영향을 준다. 문의 주위는 통로가 되야 하므로 가구를 배치할 수 없다. 주요 가구는 문에서 먼 곳에 위치하는 것이 동선이나 문 주위의 여유있는 공간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동선은 짧고 직선적이며 가능한 한 작업이나 휴식을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

실내에 문이 여러 개이면 실의 중심이 없어지며 가구배치가 어려워진다. 문이 한쪽 벽의 중심에 위치하느냐 또는 한쪽으로 치우쳐 있느냐에 따라서 유용한 실내공간의 구성이나 그 실내로 들어가는 사람의 공간감은 매우 달라진다. 이는 시야의 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실내의 중심부로 시선을 집중시키기 위해서는 문이 열리는 방향에도 유의해야 한다. 문이 벽쪽으로 열리지 않고 방의 중심쪽으로 열린다면 인접한 벽이 시선을 가로막아 그만큼 시야가 좁아지고 답답하게 느껴진다.

또한 열린 문의 방향에서 보이는 실내의 모습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 문에서 마주보이는 곳이 일반적으로 시각적 초점이 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3) 창의 여러 가지 처리방법

창의 처리는 프라이버시를 지켜준다든가 냉난방 조절에 도움이 되고,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아름다움이나 개성을 첨가해 보다 만족스런 분위기를 만드는 데도 도움이 된다.

▶가리개

가리개는 직물로 된 롤러식 스크린과 대나무나 나무조각으로 싼 발의 형식이 있다.

아래위로 올리고 내리면서 빛을 조절하는데 밖에서 안이 들여다보이지 않게 하는

역할도 한다.

▶블라인드

일정한 크기의 슬릿을 나란히 배열하게 만든 블라인드(blind)는 수평으로 된 베니션(Venctian) 블라인드와 수직으로 된 버티컬(Vertical) 블라인드가 있다. 빛의 양이나 조망, 공기를 완벽히 조절하고 색과 문양 등이 다양하지만, 먼지가 잘 끼고 청소하기가 쉽지 않다.

▶셔터

좁은 철판을 가로로 열결한 덧문으로 빛과 프라이버시를 완벽히 조절한다. 실내와 외부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격자창

일정한 간격으로 유리문에 라인을 만든 격자창은 완벽하지는 않지만 햇빛과 프라이버시를 조절한다. 도심지의 주택에서 실내에서나 외관에서 아름다움을 목적으로 만들기도 한다.


&l